python - 기본 문법

python - 함수

초무제 2022. 3. 29. 14:02
반응형

함수

함수는 우리가 흔히 쓰는 print(), input(), range(), len() 등 괄호가 붙어있는 코드입니다. 이러한 함수들은 파이썬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함수입니다. 이렇게 기본으로 제공되는 함수 말고 다른 기능이 필요할 때 함수를 직접 정의해서 쓰면 됩니다. 예제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.

def s(A, B):
    return(A + B)
a = int(input())
b = int(input())
print(s(a, b))

위 코드는 a와 b 값을 입력받아 두 수의 합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. 그냥 print(a + b) 이런 식으로 써도 되겠지만 함수를 이용해서 두 수의 합을 구해보겠습니다. 먼저 함수는 코드 맨 위쪽에 써야 합니다. 그 이유는 python 은 위에서부터 한 줄씩 한 줄씩 읽어가는데 함수를 정의하는 코드가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보다 아래에 있으면 python은 함수가 정의되지 않았다고 오류를 일으킵니다.

함수의 기본 형태는 def 함수 이름(함수 안에서 쓸 변수): 이런 식으로 씁니다. 여기서 함수 안에서 쓸 변수는 지역 변수입니다. 지역변수는 for 문에도 있습니다. for문에 쓰는 변수가(주로 이름이 i인) 지역변수입니다. 이 변수는 for문 안에서만 활용 가능합니다. for 문 박에서는 사용을 못합니다. 함수도 마찬가지로 그 함수 안에서만 쓸 수 있는 변수를 씁니다. 

그리고 함수를 호출(실행) 할 때는 함수 이름(함수 안에서 쓸 변수) 이렇게 호출합니다. 호출하면 함수를 정의할 때 쓴 변수에 호출할 때 쓰는 번수가 대입됩니다. 위 코드에서는 s(a, b)를 하면 s함수에 A 에는 a 가 들어가고 B 에는 b 가 들어갑니다. **정의된 함수와 호출할 때 쓰는 함수의 개수가 다르면 오류가 납니다** 

이제 호출까지 했으니까 다음은 값을 return 받는 것입니다. 함수에 값을 주면 함수 안에서 그 값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나온 값을 return() 여기 괄호 안에 써야지 최종적으로 나온 값을 저이가 쓸 수 있습니다. 

 

함수부터는 조금 어려울 수 있습니다.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! 

반응형

'python -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ython - 반복문  (4) 2022.03.28
python - 조건문  (0) 2022.03.27
python 변수 자료형  (0) 2022.03.27
python - 변수  (0) 2022.03.27
python - 출력문  (2) 2022.03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