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 - 기본 문법

python - 변수

초무제 2022. 3. 27. 16:03
반응형

변수는 프로그래밍을 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.

변수는 쉽게 말하면 수학에서 흔히 쓰는 문자 값입니다.

a = 3

a(변수 이름) = 3이라고 쓰면 변수 a에 3을 대입한다 이런 뜻입니다.

**등호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 값에 대입합니다.**

한번 변수 a를 출력해보겠습니다.

a = 3
print(a)

 

 

 

이런 식으로 코딩을 하면

3

이렇게 3이 나옵니다. 여기서 print(a)에서 괄호 안에 따옴표를 안 쓰는 이유는 출력문으로

보여드리겠습니다.

a = 3
print("a")

이렇게 print의 괄호 안에 따옴표를 쓰면 출력이

a

이런 식으로 문자 a가 출력됩니다. a가 따옴표 안에 있으면 컴퓨터는 문자로 인식하기

때문에 a 안에 있는 수 3이 아닌 문자 a가 출력되는 것이죠.

 

마지막으로 예제 하나 보여드리겠습니다.

a = 3
a = a + 1
print(a)

 

 

a = a + 1 이런 식으로 코딩을 하면 출력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?

4

출력 결과는 4가 나옵니다. 그 이유는 a = a + 1에서 위에서 말했듯이 등호 오른쪽에 있는 값을

등호 왼쪽이 있는 변수에 대입합니다. 따라서 현재 a 값은 3이었기 때문에 a = 3(a) + 1로

a에 4가 대입되어 print 했을 때 4가 출력되는 것이죠.

반응형

'python -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ython - 함수  (3) 2022.03.29
python - 반복문  (4) 2022.03.28
python - 조건문  (0) 2022.03.27
python 변수 자료형  (0) 2022.03.27
python - 출력문  (2) 2022.03.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