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의 자료형은 숫자형 타입, 불리언 타입, 문자형 타입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.
1. 숫자형 타입
숫자형 타입은 2가지로 나뉩니다. int-정수형, float-실수형 이런 걸 type(타입)
이라고 합니다.
type() 함수를 이용하여 int와 float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.
a = 2
b = 3.14
print(type(a))
print(type(b))
위의 코드를 실행하면
<class 'int'>
<class 'float'>
print(type(a))를 하면 <class 'int'> 이렇게 나옵니다. 이처럼 프린트 문 안에서 연산하여 출력을 할 수도 있습니다. 본론으로 돌아와서 class 'int'라고 나오는 건 단순하게 a가 인트형 변수라는 겁니다(a = 2는 정수고 b = 3.14는 실수이다) class는 어려운 개념이라 따로 나중에 설명할게요. float도 마찬가지겠죠?
그리고 숫자 형 변수끼리는 연산도 할 수 있습니다. *자료형이 다르면 오류가 나옵니다!
a = 1
b = 3
print(a+b)
이러한 코드가 있으면 a는 1 b는 3이니까 1+3은 4가 나오겠죠?
4
이처럼 변수끼리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사칙연산이 다 됩니다.
2. 블리언 타입
블리언(boolean) 타입은 보통 불대수 부울 대수로 불립니다. 저는 편하게
불 수라고 할게요. 불수는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수입니다. python에서는
참은 1 거짓은 0으로 표현합니다.
예시를 보여드릴게요.
a = bool(1)
b = bool(0)
print(a)
print(b)
이렇게 코딩하면 출력은
True
False
이렇게 bool() 괄호 안에 1 즉 참을 넣으면 True 0 거짓을 넣으면 False가 나옵니다.
불수 정리는 간단하게 이 정도 하고 지금부터 코딩할 때 중요하고 많이 쓰일 '비교연산자'
를 설명해 보겠습니다.
자 비교 연산자는 말 그대로 비교하는 연산자입니다.
a < b | b가 a보다 크면 True를 반환한다. |
a > b | a가 b보다 크면 True를 반환한다. |
a <= b | b가 a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를 반환한다. |
a >= b |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를 반환한다. |
a == b | a 와 b가 같으면 True를 반환한다. |
a != b | a 와 b가 다르면 True를 반환한다. |
비교 연산자를 보기 쉽게 표로 정리해봤습니다. 부등식은 수학이랑 똑같으니
설명은 생략하고 a == b와 a!= b를 설명하겠습니다.
a == b
a == b는 a = b와는 다른 기능을 합니다. a == b는 a와 b가 같은지 판단하고
a = b는 a에 b를 대입합니다. 코딩을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은 알고 있어도 간혹 실수를 하니
머릿속에 각인해두세요!
a!= b
python에서는! 는 부정의 의미를 뜻합니다. 따라서!= 이 연산자는 '다르다'를 뜻합니다.
따라서 a!= b는 a와 b가 다른지 판단하는 거죠.
3. 문자열 타입
문자열(string) 타입은 이것도 말 그대로 문자열입니다. 프린트 문에서
따옴표 안에 있는 것도 문자열 타입입니다.
문자열은 보통 큰따옴표 (""), 작은따옴표(''), 큰따옴표 3개(""" """),
작은따옴표 3개(''' ''')로 감싸져 있습니다.
문자열도 연산할 수 있습니다.
예시로
a = "Hello"
b = "python"
print(a + b)
print(a * 3)
이 코드를 실행하면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?
Hello python
Hello Hello Hello
이처럼 문자열끼리 더하면 뒤에 그대로 뒤에 붙고 문자열에 3 같은 상수를 곱하면 곱한 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됩니다.
파이썬의 장점 중 하나인 문자열을 리스트처럼 쓰는 것을 보여드리겠습니다.
리스트는 아직 안 배운 이론이니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.
리스트는 책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. 책 1쪽에는 뭐가 있고 2쪽에는 뭐가 있고
이런 식으로요. 하지만 리스트는 책과 다르게 0번부터 시작합니다. 예시 보여드릴게요
string = "파이썬"
print(string[0])
print(string[1])
print(string[2])
코드에 처음 보는 대괄호[]가 있습니다 이 대괄호는 리스트를 쓸 때 책의 몇 쪽의 정보를 가져올지 정하는 수입니다 print(string [0])에서 python에서는 문자열을 리스트처럼 쓸 수 있기 때문에 string[0] string 변수의 0번째 값을 가져오겠다 이런 뜻입니다.
**컴퓨터 언어의 리스트는 모두 0부터 시작한다**
실행하면
파
이
썬
이런 식으로 string 변수의 0번째 값 1번째 값 2번째 값이 순서대로 출력됩니다.
string = "파이썬"
print(string[-1])
string의 -1번째 값은 무엇일까요?
일단 실행시켜보겠습니다.
썬
string [-1] -1번째 값을 넣으니까 마지막 번호의 값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.
이처럼 -1말 고도 -2 -3 같은 수를 넣어도 뒤에서부터 1번 2번 3번 순으로 가니 잘 활용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.
'python -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- 함수 (3) | 2022.03.29 |
---|---|
python - 반복문 (4) | 2022.03.28 |
python - 조건문 (0) | 2022.03.27 |
python - 변수 (0) | 2022.03.27 |
python - 출력문 (2) | 2022.03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