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python - 기본 문법 6

python - 함수

함수 함수는 우리가 흔히 쓰는 print(), input(), range(), len() 등 괄호가 붙어있는 코드입니다. 이러한 함수들은 파이썬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함수입니다. 이렇게 기본으로 제공되는 함수 말고 다른 기능이 필요할 때 함수를 직접 정의해서 쓰면 됩니다. 예제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. def s(A, B): return(A + B) a = int(input()) b = int(input()) print(s(a, b)) 위 코드는 a와 b 값을 입력받아 두 수의 합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. 그냥 print(a + b) 이런 식으로 써도 되겠지만 함수를 이용해서 두 수의 합을 구해보겠습니다. 먼저 함수는 코드 맨 위쪽에 써야 합니다. 그 이유는 python 은 위에서부터 한 줄씩 한 줄씩 읽..

python - 반복문

while문 while문은 조건이 참(True)인 동안 반복합니다. a = 0 while a < 10: print(a) a = a + 1 위 코드의 조건은 a < 10 즉 a가 10보다 작다면 while문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하고 아니면 넘어갑니다. 조건문과 비슷한 느낌입니다. 그리고 와일 문 안에는 조건문의 결과(참 거짓)를 바꿔줄 코드가 필요합니다. 위 코드에서는 a = a + 1이 a 값을 1씩 증가시키면서 반복이 10번 돌면 a가 10이 돼서 a < 10 이 거짓(False)이 되기 때문에 더 이상 반복문이 실행되지 않습니다. while문 - 무한루프 while문 조건 부분에 1을 쓰면 python에서 1은 불수로 True 이기 때문에 무한루프(무한하게 반복되는 것)가 됩니다. while 1: ..

python - 조건문

조건문은 코드를 실행시킬 때 특정 조건이 맞는지 판단하고 실행시키는 것입니다. 조건이 맞는지 판단할 때는 불수를 씁니다. (python 변수 자료형 참고) if 1: print("조건이 충족됨") 일단 if 문(조건문)의 기본 형식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먼저 if 조건: 이렇게 들어갑니다. 만약 조건 부분의 불 수가 True라면 if 문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시키고 아니면 실행이 안 됩니다. 위의 코드에서 조건에 1을 씀으로 1을 불수로 변환하면 True이기 때문에 (1 = True, 0 = False) 조건이 충족됨 if 문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됩니다. **if 문 끝에는 콜론: 10: print("a는 10보다 큽니다.") else: print("a는 10보다 작거나 같습니다.") 위의 코드를 실행시키..

python 변수 자료형

변수의 자료형은 숫자형 타입, 불리언 타입, 문자형 타입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. ​ 1. 숫자형 타입 ​ 숫자형 타입은 2가지로 나뉩니다. int-정수형, float-실수형 이런 걸 type(타입) 이라고 합니다. type() 함수를 이용하여 int와 float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. a = 2 b = 3.14 print(type(a)) print(type(b))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print(type(a))를 하면 이렇게 나옵니다. 이처럼 프린트 문 안에서 연산하여 출력을 할 수도 있습니다. 본론으로 돌아와서 class 'int'라고 나오는 건 단순하게 a가 인트형 변수라는 겁니다(a = 2는 정수고 b = 3.14는 실수이다) class는 어려운 개념이라 따로 나중에 설명할게요. float도 ..

python - 변수

변수는 프로그래밍을 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. 변수는 쉽게 말하면 수학에서 흔히 쓰는 문자 값입니다. a = 3 a(변수 이름) = 3이라고 쓰면 변수 a에 3을 대입한다 이런 뜻입니다. **등호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 값에 대입합니다.** ​ 한번 변수 a를 출력해보겠습니다. a = 3 print(a) 이런 식으로 코딩을 하면 3 이렇게 3이 나옵니다. 여기서 print(a)에서 괄호 안에 따옴표를 안 쓰는 이유는 출력문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. a = 3 print("a") 이렇게 print의 괄호 안에 따옴표를 쓰면 출력이 a 이런 식으로 문자 a가 출력됩니다. a가 따옴표 안에 있으면 컴퓨터는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a 안에 있는 수 3이 아닌 문자 a가 출력되는 것이죠. 마지막으로 예제 하나 ..

반응형